15년 무주택 가장도 청약 떨어졌다
최근 청약접수를 마친 서울 은평구 수색증산뉴타운 신규 분양에서 당첨자 평균 가점이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습니다.
대상은 'DMC센트럴자이'로 당첨자 평균가점이 71.1점에 달했습니다.
전용면적 타입별 최고 기록은 80점, 최저점도 69점으로 높았습니다.
청약가점 69점은 4인 가족 기준으로 최소 45세가 돼야 받을 수 있는 점수입니다.
부양가족이 많고 무주택 기간이 길었던 청약가점 고점자들이 청약을 신청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같은 날 당첨자를 발표한 수색증산뉴타운 신규 분양단지들 역시 당첨자 최처점이 60점을 넘었습니다.
청약경쟁률 경신 사례도 나왔습니다.
‘DMC SK뷰 아이파크포레’ 단지는 1순위 청약접수 결과 110가구 모집에 3만7430명이 신청해 평균 340 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모든 주택형이 청약 마감됐습니다.
앞서 최고 가점을 경신한 ‘DMC센트럴자이’가 12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100 대 1이 넘는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분양단지가 10곳에 달합니다.
새 아파트 청약에 대한 수요 관심이 지속적으로 고조되고 있다고 보입니다.
서울 소재 청약통장 가입자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새 아파트 청약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높은 상품성과 수익성, 대체효과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기존 아파트 가격의 진입장벽이 높아진 반면 분양가 규제로 인해 새 아파트의 분양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죠.
그래서 기대수익률도 높은 편입니다.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새 아파트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희소가치도 크죠.
단지 시설과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 역시 뛰어납니다.
규제가 심화된 재고 아파트 대신 새 아파트 청약에 집중하는 수요자들이 늘어나는 이유입니다.
유예기간을 마치고 민간
분양가상한제가 본격화되면서 무주택 실수요 청약자들은 신규 분양시장에 더 몰릴 전망입니다.
문제는 과열입니다.
분양가상한제와 전매제한 강화 등 제도가 변하면서 새 아파트의 공급은 줄어들 가능성이 큰데요.
수요는 반대로 늘어나고 있어 과도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당첨 확률이 낮아진 참여자들의 실망감은 높아질 겁니다.
새 아파트로 이사 가기를 원하는 1주택자는 물론 가점 경쟁에서 불리한 젊은 층의 접근도 점점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대출 규제 영향에 있어서도 자산과 소득이 낮은 젊은 층이 불리합니다.
분양가격이 높은 수도권 규제지역의 고가 아파트는 중도금, 잔금 대출이 어려운데요.
그래서 자금 여력이 있는 청약자에게 유리합니다.
실입주 요건이 까다로워지고 단기 전매와 전세를 통한 잔금 처리도 불가능합니다.
무주택자들의 내집마련과 아파트 투자를 위한 마지막 보루였던 청약시장에서도 가점이 높은 사람, 특별공급 조건에 부합하는 사람, 고액 자산가 등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구조가 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소외된 계층에 대한 공급과 금융 지원이 필요합니다.
3기 신도시 사전분양을 시작으로 수도권 공공주택 공급 확대 물량을 실수요자에게 형평성 있게 공급하고, 과도한 금융규제는 조금 풀어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