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는 기업들의 실적에 악영향을 줬을까요?
아니면 오히려 도움을 줬을까요?
그에 대한 답은 ‘필수재를 만드는 1등 기업들에게는 오히려 기회요인이 됐다’입니다.
예를 들어 나이키는 지난 3분기에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한 수준에서 선방했습니다.
시장 예상치보다 50% 이상 큰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코로나 이후에도 운동화 소비는 유지되는데 소비자들이 그걸 구입하는 방법은 온라인으로 잘 아는 브랜드를 사는 것이었습니다.
■ 코로나가 경쟁자를 없애줬다
코로나가 아니었다면 오프라인 매장에서 치열한 이벤트와 홍보를 통해 판매경쟁을 벌여야했을텐데 오히려 코로나로 인해 판매비용이 감소했습니다.
나이키 같은 해당 업계 1위 업체들은 대체로 <경쟁력>이 뛰어난 기업이지만 코로나로 인해 <경쟁>이 줄어들면 오히려 더 큰 성과를 냅니다.
경쟁할 기회를 잃은 군소업체들의 출혈이 나이키의 이익으로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3분기 실적에서도 그대로 나타났습니다.
3분기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는데 대체로 매출은 줄었지만 영업비용이 더 크게 감소해서 영업이익은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나이키의 사례와 비슷한 구조입니다.
원자재 가격이든 판매비용이든 인건비이든 비용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물론 그 기업들이 쓰는 그 비용이 수익의 원천이 되는 원자재 생산국가들이나 개인들의 상황은 더 나빠졌을 것입니다.
나이키는 미국 본사 직원 500명을 지난 8월에 해고했습니다.
비용의 감소입니다.
온라인이나 중국 시장에서 매출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미국 본토의 본사 직원들은 그 성장에 별 기여를 하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생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늘어난 종부세, 다주택자들 집 팔까 (0) | 2020.11.25 |
---|---|
다시 배당 시작한 미국 기업들 (0) | 2020.11.24 |
내년 1월 미국 시장에서 벌어질지도 모르는 일 (0) | 2020.11.18 |
계속 퍼지는 코로나19 (0) | 2020.11.16 |
다음 전세대책은 뭐가 나올까? (0) |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