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뉴스

다시 배당 시작한 미국 기업들

 

미국의 주요기업들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배당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다시 배당을 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습니다.

S&P 500 지수 내 500개 기업 중 42개 기업이 올해 들어 배당을 중단했지만 최근 이 가운데 6곳이 배당을 재게하거나 향후 배당계획을 공개했습니다.

 

앞으로도 배당을 다시 하는 쪽으로 정책을 바꾸는 기업들이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배당을 못할 만큼 위기가 심하지는 않다는 판단을 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세계 주요 기업들이 배당을 잇따라 줄이고 있다는 지난 8월의 뉴스와는 분위기가 좀 달라지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기업이 돈을 많이 벌어서 투자할 곳에 투자하고도 돈이 남으면 배당을 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거나 미래에 자금 수요가 많을 것 같으면 배당을 하지 않는 것이니 배당 여부는 기업들이 알아서 판단할 일입니다.

다만 코로나 19 바이러스 사태 이후로 기업이 배당을 하는 것에 대한 가치 판단이 꽤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 배당을 많이 하는 것이 좋은 것?

자사주를 매입해서 소각하거나(이렇게 하면 주주들이 가진 주식의 가치가 올라가서 사실상 배당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됩니다) 아니면 직접 배당을 하는 것은 회사의 부를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바람직한 행위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 지나친 배당·자사주 매입에 한순간에 힘들어진 보잉

그러나 코로나 19 사태 이후 자금난에 빠진 보잉의 장부를 보고 사람들의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보잉이 21년 동안 연속 흑자를 내고도 올해 단 1년간의 적자로 자금난을 겪게 된 것은 그동안 매년 번 돈을 대부분 자사주 소각이나 배당으로 사용하고 회사 운영비는 대출을 통해 조달해 왔기 때문이었습니다.

대출이자율이 회사의 자본이익률보다 낮기 때문에 돈을 빌려서 자사주를 사서 소각하면 계속 그런 일을 할수록 주주들에게는 이익입니다.

 

(2명이 1억원씩 내고 동업하는 식당에서 2명의 동업자가 각각 1000만원씩 매년 이익을 배당 받는다면 자본 대비 이익률이 10%이므로 둘 중 한명은 어디선가 돈을 빌려서 상대방의 지분을 사들이고 그 식당을 100% 본인 소유로 바꾼 뒤에 그 빌린 돈의 이자를 스스로 감당하는 게 더 유리합니다. 보잉은 그런 일을 한 것입니다)

 

그런데 코로나19처럼 갑작스런 위기가 닥치면 현금 보유액이 별로 없고 갑자기 적자 폭이 커지는 기업에는 아무도 돈을 빌려주지 않습니다.

그러니 그런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배당을 줄이고 현금 보유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 우리나라 기업은 배당이 적어서 문제?

이런 변화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배당성향이 낮은 것에 대한 반론거리가 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배당 성향(순이익 대비 배당금의 비율)은 약 25% 정도로 주요 선진국들의 배당성향이 40%를 넘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편입니다.

 

■ 우리나라 기업이 배당에 인색한 이유

우리나라 기업의 배당이 적은 것은 대주주가 다른 주주들을 동업자로 생각하지 않는 나쁜 문화 때문이라는 비난 이외에도 몇 가지 이유들이 더 있습니다.

 

1. 대주주 지분율이 낮아서 배당을 해봐야 대주주가 가져가는 돈은 얼마 안 된다

(그냥 회사에 두고 필요할 때 꺼내 쓰는 게 낫다. 배당을 받으면 배당 소득세로 배당금의 절반가량을 내야 한다. 굳이 거액의 세금을 내면서 배당을 받을 이유가 없다)

 

2.  대주주 지분율이 낮아서 적대적 M&A에 노출될 수 있는데 그때 회사에 현금이 많으면 자사주를 사들여서 우호세력에 넘기는 식으로 대응을 할 수 있다.

 

3. 상속세율이 높아서 상속 전략이 필요한데 회사에 돈을 쌓아두면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자사주를 사들여서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데도 활용되고 부모가 사망한 후 자녀가 지분을 물려받은 후에 대규모 배당을 하는 게 유리합니다. 괜히 부모가 배당을 많이 받아 놓으면 자녀의 상속세 재원만 축나고 부모가 받은 배당은 상속가액으로 잡혀서 상속세를 더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4. 상속을 하려면 일감을 몰아주는 식으로 자녀 회사에 돈을 몰아줘야 하는데 그 일을 하려면 부모 회사에 현금이 많아야 가능하다.

 

5. 한국 기업은 해외 경기에 영향을 받는 기업이 많아서 지금 현금이 많더라도 해외 경기가 나빠지면 악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으니 늘 넉넉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보잉 고생하는 거 봐라)

 

6. 주주들이 사업하고 투자해서 돈을 더 벌라고 준 돈을 주주들에게 다시 돌려주는 배당은 좋은 선택이 아니다.

아마존은 계속 투자하면서 주주들에게는 배당을 한 푼도 안 한다.

다만 우리는 아마존처럼 속도감 있게 투자하지 않고 신중하게 투자하느라고 기다리는 것뿐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5번의 이유에 더 무게와 설득력을 싣는 사건이 되고 있습니다.